개발자의 글쓰기 5~7장
🖋 5장 : 설명, 묘사, 논증, 서사로 개발 가이드 쓰기 📎 서비스 개념을 범주, 용도, 특징으로 설명하자 개발자가 독자에게 서비스 개념을 설명할 때는 범주, 용도, 특징 수능로 쓰는 것이 좋다. 독자가 잘 아는 범주를 먼저 말한다. 범주의 용도를 말하면 독자는 자연스럽게 서비스의 용도롸 같음을 알아차린다. 마지막으로 그 범주 내의 유사...
🖋 5장 : 설명, 묘사, 논증, 서사로 개발 가이드 쓰기 📎 서비스 개념을 범주, 용도, 특징으로 설명하자 개발자가 독자에게 서비스 개념을 설명할 때는 범주, 용도, 특징 수능로 쓰는 것이 좋다. 독자가 잘 아는 범주를 먼저 말한다. 범주의 용도를 말하면 독자는 자연스럽게 서비스의 용도롸 같음을 알아차린다. 마지막으로 그 범주 내의 유사...
🖋 4장 : 독자 관점에서 릴리스 문서와 장애 보고서 쓰기 📎 체인지 로그를 분류, 요약, 종합하는 법 체인지 로그는 읽기 좋게 적절한 양으로 써야 만족도가 뫂다. 체인지 로그를 적절한 양으로 쓰려면 일단은 체인지 로그를 최대한 많이 쓰고 일정한 기준으로 선정하고 비슷한 것끼리 분류한 뒤 문장을 요약해야한다. 1단계 : 선...
🔍 모르는 용어, 개념들을 한줄 요약 정리 해놓는 페이지 버퍼 : 데이터를 한 곳에서 다른 한 곳으로 전송하는 동안 일시적으로 그 데이터를 보관하는 메모리의 영역. 교착상태 : 두 개 이상의 프로세스가 서로의 작업이 끝나기만을 기다리고 있어 둘 다 영원히 끝나지 않는 상황. 결과적으로 아무것도 완료되지 못하는 상태. ...
🖋 3장 : 사용자와 소통하는 에러 메시지 쓰기 📎 에러 메시지를 쓰기 전에 에러부터 없애자 사용자가 404 에러 페이지를 만나는 경우는 사용자가 URL을 잘못 입력한 경우 사용자가 링크를 클릭했으나 해당 페이지가 없는 경우 두번째의 경우는 링크가 있어서 클릭했는데 해당 페이지가 없는 경우이다. 이것을 깨진 링크, 또는 죽은 링크, 나쁜 링...
제어의 역전 IoC (Inversion of Control) 개발자가 직접 컨트롤하고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프레임워크 등이 대신 호출 제어 해주는 것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을 직접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관리하는 것 프레임워크 vs 라이브러리 내가 작성한 코드를 제어하고, 대신 실행하면 프레임워크 (ex. JUnit) 내가 ...
🖋 2장 : 개발 시간을 줄여주는 이름 짓기와 주석 쓰기 📎 네이밍 컨벤션, 이유를 알고 쓰자 코드를 짜기도 쉽고 이해하기도 쉽다. 문서 대신에 코드로 소통하려면 좋은 이름 짓기는 필수 이름 짓기는 창조 과정이 아니라 정해진 원칙으로 적절한 단어를 선택해 조합하는 과정 컨벤션을 만든 이유는 가독성과 소통 때문이다. 코드를 읽기 쉽게 만...
🌿 프롤로그 : 개발자의 글쓰기는 달라야 한다 개발자 글쓰기의 특징: 정확성, 간결성, 가독성 정확성 : 틀림이 없이 확실한 것. 글로 쓰인대로만 개발하면 버그없이 실행돼야 함 간결성 : 핵심만 써야 함. 가독성 : 쉬운 용어를 사용하고 필요하다면 표나 그림으로 잘 정리해야 함. 🖋 1장 : 개...
알고리즘 테스트 알고리즘 테스트는 2시간 제한으로 레벨3의 문제가 출제되었다. 각 주제에 맞는 문제들이 선별되어 나왔다. 인텔리제이에서 따로 문제를 풀었는데 설정을 잘못해서 TDD로 풀지 못했다. 설정을 다시해서 TDD로 풀고 리팩토링까지 해야겠다. 코드리뷰 수~일까지 코테를 풀고 월~화는 코드리뷰를 한다. 다른 사람의 코드 리뷰를 해본 결...
TDD 리팩토링 연습 1. 단위테스트 연습 내가 사용하는 API 사용법을 익히기 위한 학습테스트 어떻게 동작하는지 테스트 만들면서 연습 => 단위테스트, API 사용법을 익히게 됨 INPUT, OUTPUT이 명확한 메소드부터 단위테스트 연습 2. TDD 연습 난이도가 낮거나 익숙한 문제로 시작, TDD 연습이 ...
🤔 AOP (Aspect Oriented Programming) 란 무엇인가? 🔎 무지 발견 스프링 입문 강의를 듣던 중 AOP가 나왔다. 입문 강의라서 짧게 다루고 넘어갔는데 평소 많이 들어는 봤지만 그래서 AOP가 뭐야? 라는 질문에 답을 할 수 가 없어 무지목록에 집어넣었다. 💡 알아보기 애플리케이션의 핵심적인 기능에서 부가적인 기능을 분리...